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소고기값 급등세…장바구니 물가 부담 가중

소고기 가격이 급등하면서 한인들의 장바구니 물가도 더욱 오를 것으로 보인다.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소고기 가격은 전월 대비 2.4%, 전년 동기 대비 7.6% 상승했다.     2월 기준 평균 소고기 가격은 다진 소고기 경우 파운드당 5.63달러, 뼈 없는 등심 스테이크는 11.90달러로 각각 전년 대비 9.6%, 1.6%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체 CPI 상승률은 전월 대비 0.2%, 전년 대비 2.8%로, 소고기 가격이 평균보다 훨씬 빠르게 오르고 있다.         한인 마켓업계가 체감하는 전반적인 소고기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10% 정도 상승했다.     한인 도매정육업계에 따르면 LA갈비 경우 인플레이션이 고공행진을 기록하던 2022년 12월 기준 파운드당 7.70달러였던 LA갈비가 이달 기준 8.79달러로 14% 이상 올랐다.     김영교 LA한남체인 정육부 이사는 “소고기 도매가 인상 여파로 파운드당 1달러 정도 올려야 하지만 경기둔화 여파로 상승분을 마켓에서 흡수하고 있다”며 “불고기감 어깨살 경우 파운드당 6.99달러로 지난해 가격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A 한인마켓에서 현재 판매 중인 LA갈비 가격은 지난해부터 파운드당 12.99~13.99달러를 유지하고 있다. 이외 차돌박이 파운드당 13.99~14.99달러, 불고기용 어깨살 파운드당 6.99달러, 등심 스테이크 파운드당 13.99달러 선이다.     전문가들은 소고기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축산업 고전에 따른 공급 감소, 인건비 포함 높은 제반 비용 증가, 꾸준한 소비자 수요를 꼽는다.     웰스파고 농식품연구소의 코트니 슈미트는 “국내 소 떼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올해 소재고는 역사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농무부(USDA)는 1월 말 기준 전국 소와 송아지 수는 8670만 마리로, 전년 대비 1%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농무부는 올해 국내 소고기 생산량이 266억 8500만 파운드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기업은 소고기 공급처를 캐나다와 멕시코로 다변화하고 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국가로부터의 수입품에 25%의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부담은 더욱 커졌다.     일단 4월 초까지 한시적 유예 조치가 취해졌지만, 장기적으로는 소고기 수입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잔 윤 시온마켓 옥스포드점 지점장은 “소고기 가격 인상분을 적용하지 않아 현재 LA갈비는 파운드당 12.99달러에 판매 중”이라며 “수익 감소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는 한계가 있다. 캐나다·멕시코 관세가 발효되면 결국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업계는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 소고기에도 관세가 적용되면 4~5월부터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마켓 업계 관계자는 “팬데믹 이전 교회 및 자바시장 한인 업체들이 양념갈비나 소불고기 캐더링 주문을 많이 했는데 끊긴 지 오래되었다”며 “소고기 대신 돼지고기와 닭고기 매출을 올릴 수 있는 마케팅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은영 기자장바구니 소고기값 장바구니 물가 기준 소고기 기준 파운드당

2025-03-2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